이슈

대법원 파기자판 판결 검토 파기자판이 뜻 이해 상세 설명 ft 이재명 선고

트루셀러 2025. 4. 5. 09:21
728x90
728x90

반응형

대법원 ‘파기자판’ 판결이란?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최근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2심 판결 결과 관련해서 여러가지 논란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 대법원에서 파기자판을 갈 수도 있다는 뉴스를 보았는데요,

하지만 법을 잘 모르는 일반인에게는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법원의 파기자판 판결이 무엇인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쉽게 풀어 설명드리겠습니다.

1. 파기자판이란 무엇인가요?

 

‘파기자판’은 ‘파기 후 자판’의 줄임말로,
**대법원이 하급심(주로 항소심) 판결을 파기(무효화)**하고, **직접 사건에 대해 판단(자판)**까지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대법원은 하급심 판결이 위법하거나 부당하다고 판단되면
그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판단하라고 하급심에 돌려보냅니다.
이게 바로 **‘파기환송’**입니다. 이는 다시 검토하는데 시간이 상당하 소요됩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대법원이 직접 최종 판단을 내려 사건을 끝내는 경우, 이를 ‘파기자판’이라고 부릅니다.

2. 언제 파기자판이 이루어질까요?

 

파기자판은 모든 사건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와 같은 특정 요건을 만족할 때만 가능합니다.

 

1. 사실관계가 명확하고 다툼의 여지가 없을 때

2. 추가 심리가 필요 없다고 판단될 때

3. 대법원이 바로 법률적 판단만으로 결론을 낼 수 있을 때

 

쉽게 말하면, 더 이상 사실 확인을 위해 재판을 반복할 필요 없이, 법적으로 결론을 낼 수 있는 경우입니다.

3. 예시로 이해해볼까요?

 

예를 들어, 어떤 사건에서 항소심이 피고에게 유죄를 선고했지만 대법원이 법리 오해를 이유로 유죄 판결을 파기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때, 대법원이 “이 사건은 법적으로 무죄다”라고 직접 판단해 무죄 확정 판결을 내리면 **이것이 바로 파기자판 입니다.
따라서 사건은 다시 하급심으로 가지 않고 대법원에서 끝납니다.

4. 파기자판의 장점은?

 

1) 소송의 신속한 종결: 사건이 다시 환송되지 않아 절차가 빨리 끝납니다.

2) 법률적 안정성 제고: 대법원이 직접 결론을 내면서 판례의 명확성이 높아집니다.

3) 불필요한 재심리 방지: 사실관계가 분명한 사건의 재심리를 방지해 사법자원의 낭비를 줄입니다.

마무리하며

 

‘파기자판’은 대법원이 사건의 하급심 판결을 파기한 뒤 직접 최종 결론을 내리는 판결입니다.
모든 사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때때로 중요한 사건에서 법적 분쟁을 빠르게 정리하고 끝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조사하면서 알아보니 대한민국에서는 파기자판 사례가 굉장히 적었습니다.

과연 대법원에서 이번 공직선거법 2심 선고관련해서 파기자판을 내릴지, 앞으로의 정국이 어떻게 진행될지 궁금합니다. 

 

법률이 어렵게 느껴지시더라도, 이렇게 하나씩 풀어보면 이해가 훨씬 쉬워지죠.
앞으로도 이런 법률 용어, 어렵지 않게 알려드릴 수 있느 시간도 가져보겠습니다.

 

아래 포스팅도 함께 참고해주세요

 

윤석열 대통력 탄핵 확정 알기쉽게 한눈에 정리

윤석열 대통령 탄핵까지의 122일, 대한민국의 세번째 탄핵심판2025년 4월 4일은 역사의 한페이지에  다시 장식되게 되었습니다. 2025년 4월 4일 오전 11시 22분,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true-seller.tistory.com

 

 

감사합니다!

728x90
728x90